똑똑한 사람들은 두뇌회전이 빨라 얼굴이 굳어져 있지만 바보들은 머리가 돌지 않아 웃으며 살아간다. 성경에도 바보들의 이야기가 있다. 구약성경 창세기 26장에 대표적인 바보 한 사람이 나온다. 아브라함의 아들인 이삭이란 사람이다.
이삭이 당대에 바보 노릇을 하였던 이야기는 그가 7번이나 거듭 판 우물이야기에 나타난다. 중동 지방에서 우물은 대단히 중요하다. 우물 하나로 인하여 부족 간에 피 비린내 나는 전쟁이 일어날 정도였다. 그 지방에서 우물 하나 파기가 그렇게 어려웠기 때문이다. 모래벌판 한 가운데서 물길을 잡기도 어렵거니와 물줄기를 잡았다 하더라도 무너져 내리는 모래로 인하여 우물을 완성하기가 몹시 어려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삭은 그렇게나 파기 어려운 우물을 무려 7개나 팠다. 이삭이 왜 그렇게 많은 우물을 팠을까? 그 이유는 이삭이 판 우물을 불량한 이웃이 뺏으려 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삭은 이웃이 부단하게 우물을 뺏으려 하였을 때에 조용히 양보하고 물러서기를 거듭하였다.
주위 사람들이 이삭이 판 우물을 자기 것이라 억지 주장을 할 때마다 이삭은 조용히 물러섰다. 그리고 다른 골짜기로 가서 다시 우물파기에 전심전력을 다 하였다. 그가 우물을 팔 때마다 물 근원이 터져 우물을 완성할 수 있었다. 다른 사람들은 평생에 한 우물조차 파지 못하고 다른 사람이 파 놓은 우물을 뺏으려 드는 때에 이삭은 그렇게 살지 않았다. 양보하고 조용히 물러서기를 계속하였다. 바로 바보 이삭으로 살았다.
그렇게 판 우물이 일곱이나 되었다. 그런데 신기한 일이 일어났다. 양보하고 물러선 이삭은 가는 곳마다, 하는 일마다 잘 되었지만 이삭의 우물을 빼앗은 사람들은 하는 일마다 잘 풀리지 않았다. 우물파기에 열중하였던 이삭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고 우물 빼앗기에 열중하였던 사람들은 재난과 고난의 삶이 이어졌다.
하나님은 바보처럼 사는 이삭과 함께 하셨다. 그리고 결국은 바보스런 이삭이 승리하였다. 우물을 빼앗았던 사람들은 똑똑하였으나 불행하게 살았고, 우물을 빼앗기기를 거듭하였던 이삭은 행복을 누리며 살았다. 우리 모두 바보가 되어 이삭처럼 살아가기를 다짐하였으면 한다.
김진홍 목사의 아침묵상(60)
바보가 됩시다
- 임헌선 기자
- 입력 2014.09.05 0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
임헌선 기자
sus7232@naver.com
다른기사 보기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내 댓글 모음